해설:
이것은 아삽의 이름으로 된 마지막 시편입니다. 역시 이 시편은 다시 이스라엘의 국가적인 문제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먼저 시인은 하나님께 더 이상 침묵을 지키지 말아 달라고 기도합니다(1절). 이스라엘이 이방 민족들의 위협과 압제 아래에 신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2-3절). 그들의 목표는 이스라엘을 이 땅에서 완전히 멸절시키는 것입니다(4절). 시인은 그들을 “주님의 원수들”(2절)이라고 부릅니다. 이스라엘에 대한 그들의 적대 행위는 곧 하나님께 대한 것이나 다름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은 지정학적으로 여러 강대국들 사이에 끼어 있었고, 강대국들 사이의 전쟁에서 늘 통로의 역할을 해야 했습니다. 지역 패권을 잡은 국가들은 항상 이스라엘을 점령하여 통로를 확보하려 했고, 그 과정에서 이스라엘은 늘 존립의 위기를 경험해야 했습니다. 시인은 이스라엘의 존립을 위태롭게 했던 몇 민족들의 이름을 열거하면서(6-8절) 과거에 미디안에게 하신 것처럼 이스라엘을 위협하는 민족들을 징벌해 달라고 기도합니다(9-12절). “미디안에게 하신 것”에 대해서는 사사기 7장과 8장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이어서 시인은 여러 가지 비유를 사용하여 “주님의 원수들”을 심판해 주시기를 청합니다. 주님의 심판은 “산림을 태우는 불길”과 같고 “산들을 삼키는 불꽃”과 같으며(14절) “회오리바람”과 같고 “폭풍”과 같습니다(15절). 그 심판 앞에서는 아무리 강한 나라라도, 아무리 강한 왕과 장수라도 “바람에 굴러가는 엉겅퀴와 쭉정이”(13절)와 같은 신세가 됩니다. 하나님의 심판으로 인해 그들이 두려움에 사로잡히고 수치를 당할 때에야 그들은 돌아서서 주님을 간절히 찾을 것이며(16절) 그분만이 “홀로 가장 높으신 분”(18절)임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렇기에 시인은 하나님께 이제는 침묵을 깨고 일어서 주시기를 청하는 것입니다.
묵상:
시인은 이스라엘을 적대하는 민족들에게 “주님의 원수들”이라는 이름을 붙입니다. 반면에 이스라엘 민족에 대해서는 “주님의 백성”이라고 부릅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만민을 구원하기 위해 제사장의 나라로 세우신 민족이기에 “주님의 백성”이라고 부를 만합니다. 하지만 이스라엘은 당시 지중해 국가들 중에 가장 작은 나라였으며 주변 강대국들에게 끊임없이 존립을 위협 받았다는 점에서도 하나님의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었습니다. 인간의 야만성과 잔인성이 절제 없이 표출되던 시대에 강대국들 사이에서 약소국으로 산다는 것은 매일 생존에 위협을 받고 산다는 뜻이었습니다.
한 개인이든, 한 국가이든, 하나님과의 관계에 있어서 동일한 패턴이 보입니다. 인간적으로 강해지고 부해지면 그만큼 우리는 오만해지고 방자해집니다. 하나님을 업신 여기고 자신의 탐욕을 따라 행동합니다. 반면, 인간적으로 약해지고 가난해지면 하나님을 찾고 그분의 도움을 구합니다. 우리의 하나님은 가난하고 연약하고 압박받고 고통받는 사람들 편에 서십니다. 82편에서 시인은 가난하고 가련한 ‘사람들’ 편을 드시는 하나님을 노래했고, 83편에서는 연약한 ‘민족’ 편을 드시는 하나님을 노래합니다.
우리의 하나님이 연약한 자 편에 서시는 분이라는 사실에서 큰 위로를 받습니다. 또한 이 사실에서 우리는 큰 도전을 받습니다. 우리의 타락한 마음의 관성은 강한 것, 부한 것, 높은 것에 끌리기 때문입니다. 타락한 우리 마음의 끌림을 거부하고 하나님의 마음으로, 하나님의 눈으로 낮은 곳, 어두운 곳, 깨어진 곳을 돌아 보며 살기를 소망합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