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91편: 순진한 기대

해설:

이 시편에는 표제가 붙어 있지 않습니다. 원래 90편의 일부였던 것이 편집 과정에서 별도의 시편으로 나뉘었을지 모릅니다.

시인은 깊은 묵상과 기도 중에 자기 자신에게 말합니다. 1절부터 13절까지는 시인의 내면에서 두 자아가 나누는 영적 대화입니다. 여기서 “너”는 자신의 또 다른 자아를 가리킵니다. 그는 “가장 높으신 분의 보호” 아래 살며 “전능하신 분의 그늘 아래”(1절) 살고 있습니다. 이 비유는 팔레스틴의 상황을 감안하고 읽어야 합니다. 하루 종일 따가운 태양볕이 내리 쪼이는 그곳에서 나무 그늘을 만나는 것은 큰 위안입니다.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는 사람은 마치 뜨거운 대낮에 나무 그늘 아래 쉬고 있는 사람과 같습니다. 그러자 내면의 또 다른 자아가 “나는 주님께 ‘주님은 나의 피난처, 나의 요새, 내가 의지할 하나님’이라고 말하겠다”고 대답합니다(2절).

그 말을 듣고 다른 자아가, 그가 믿는대로 하나님께서 그를 여러 가지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해 주실 것이라고 응답합니다(3-13절). 그는 인간이 당할 수 있는 모든 위험 즉 죽을 병(3절), 밤에 찾아드는 공포, 낮에 날아드는 화살(5절), 흑암을 틈타서 퍼지는 염병, 백주에 덥치는 재앙(6절) 그리고 악한 자들로부터의 공격(7-8절)까지 열거합니다. 이 모든 위험으로 인해 다른 사람은 다 넘어져도 그는 넘어지지 않을 것이며, 그를 해치려는 악인들이 보응 받는 것을 보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을 피난처로 삼은(9절) 그에게는 “어떤 불행도 찾아오지 않을 것”이며 “어떤 재앙도 가까이하지 못할 것”(10절)입니다. 하나님께서 천사들을 명하셔서 오고 가는 모든 길에서 그를 지켜 주실 것이기 때문입니다(11-13절).

이렇게 내적 대화로 묵상을 이어가는 중에 하나님의 말씀이 시인의 마음에 와 닿습니다. 내면의 두 자아의 대화에 대해 하나님께서 하시는 말씀은 충격입니다. “내가 그를 건져 주겠다”는 말이나 “내가 그를 높여 주겠다”(14절)는 말은 그가 환난을 당할 것이라는 사실을 전제합니다. 15절에서는 더 분명하게 “그가 고난 받을 때에, 내가 그와 함께 하겠다”고 하십니다. 하나님은 시인의 감미로운 내적 대화에 찬물을 끼얹는 것 같습니다. 시인은 전능하신 분의 그늘 아래에 있는 사람에게 그 어떤 고난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 했는데, 하나님은 그 사람이 고난 받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깁니다. 다만, 고난 중에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고 기도에 응답하시고 구원해 주실 것이라고 하십니다(16절). 

묵상:

전능하신 분의 그늘 아래에 머물러 사는 사람에 대한 이 시인의 고백은 참으로 감미롭습니다. 하나님을 의지하고 살아가는 사람에게는 그 어떤 불행도, 그 어떤 재앙도 가까이 하지 않는다는 것이 진실이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네 왼쪽에서 천 명이 넘어지고, 네 오른쪽에서 만 명이 쓰러져도, 네게는 재앙이 가까이 오지 못할 것이다”(7절)라는 말이 사실이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만일 그렇게 된다면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을 사람이 누구이겠습니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하나님을 전적으로 의지하고 그분의 뜻을 따라 의롭고 거룩하게 살아가는 사람에게도 질병은 닥쳐 오고 불행이 엄습해 옵니다. 적의 공격을 받아 모두가 쓰러질 때 전능하신 분을 의지하는 사람도 함께 쓰러집니다. 그뿐 아니라, 의롭고 거룩하게 살아가는 것은 이 세상에서 손해와 반대와 고난을 자초하는 것이 될 때가 많습니다. 죄악 된 현실 속에서 하나님을 믿고 사는 것은 불행을 피하는 길이 아니라 오히려 불행을 자초하는 길이 될 때가 많습니다. 그러니 시인이 이 시편의 전반부에서 표현한 기대감은 순진하다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돌보심에 대한 순진한 기대는 자주 시험 거리가 됩니다. 사탄이 예수님을 시험할 때 11절과 12절을 인용했던 것(마 4:6)을 기억해야 합니다. 예수께서 하나님에 대한 순진한 기대감을 가지고 계셨다면 성전 꼭대기에서 뛰어 내렸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하나님의 전능하심이 그렇게 순진한 방식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님을 아셨습니다. 

시인의 순진한 기대감에 대해 하나님은 “그가 고난을 받을 때에 내가 그와 함께 있겠다”(15절)고 답하십니다. 전능자의 그늘 아래에 사는 사람도 때로 고난을 피할 수 없습니다. 하나님은 당신을 믿는 사람들만 고난을 피하게 하시는 분이 아니라 고난 중에 함께 하시면서 그 고난을 통과할 수 있게 하시는 분입니다. 믿음은 고난을 피하게 해 주는 마법이 아니라 고난을 통해 새롭게 빚어지고 고난을 딛고 일어서게 하는 능력입니다. 하나님은 그 과정에 함께 하십니다. 

5 responses to “시편 91편: 순진한 기대”

  1. 항상 죄에 물들어있는 세상에서 피난처 주님의 그늘 아래에서 보호 받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극심한 고난과 시련이 닥쳐와도 함께하시는 주님을 꼭 붙잡고 감내하는 믿음이 필요합니다. 죽을 병을 온전히 치유하시는 Rafael 하나님, 2번째 항암치료를 받는 믿음의 자매와 함께하시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온교회와 속회와 친족과 가족이 주님안에서 하나되어 기도하는 오늘이 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아멘.

    Like

  2. 우리가 감당 할 시험 밖에는 주지 않겠다고 하시며 우리의 고난을 함께하시며 끝까지 지켜주시겠다는 주님의 신실하심을 믿습니다, 늘 함께하여주시고 새벽을 깨워 주시어 오늘 하루도 주님의 날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매일 같이 늘어나는 총기 사건을 잠재워 주시고 그로인해 생기는 피해자들을 하늘의 평화로 위로해 주십시요.
    인간의 우둔 함을 불쌍이 여겨주시고 주님의 지혜에 눈을 뜰수있도록 주님의 가호를 간구합니다.
    주님이 나의 거처로 되는 하루로 이끌어 주실 것을 기도합니다

    Like

  3. “여러분은 사람이 흔히 겪는 시련 밖에 다른 시련을 당한 적이 없습니다. 하나님은 신실하십니다. 여러분이 감당할 수 있는 능력 이상으로 시련을 겪는 것을 하나님은 허락하지 않으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시련과 함께 그것을 벗어날 길도 마련해 주셔서, 여러분이 그 시련을 견디어 낼 수 있게 해주십니다”(고10:13). 인간이 자녀를 사랑하고 어려움이 있을때에 도와주는데, 하물며 한없이 넓고 끝이 없으신 사랑으로 지으시고 기르시고 항상 함께하시는 하나님께서 고난의 물속에서 허우적대는 자녀들을 외면하실까요? 반드시 건져주시거나 고난의 물속에서 헤어나오는 지혜를 주시리라 믿습니다. 주님! 부르시는 그날까지 이 믿음 변치 않고 살아가게 하옵소서. 아멘. 하나님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Like

  4. Taekhwan - T.K. Lee Avatar
    Taekhwan – T.K. Lee

    어떤 책에서 “변화는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다”라는 문구를 본적이 있습니다. 시련과 역경을 통해서 성화시키는 성령님과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합니다. 그 성화의 과정들과 고난을 통해서 새롭게 변화되어지는 삶가운데, 언제나 함께하시는 하나님을 바라봅니다.

    Like

  5. 지금도 그러는지 모르지만 한때 교회에서 “아름다움이 죄라면 당신은 사형감입니다”라고 옆사람한테 인사를 하라던 적이 있습니다. 오늘 해설을 읽는데 순진함으로 그 말을 바꿔도 되겠다 싶었습니다. “순진함이 죄라면 나는 분명 사형감이다.” 사실 나의 순진함은 마음이 깨끗한 데서 오는 것이 아니라 안일함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입니다. 깊이 생각하거나 입장을 바꿔 여러 각도에서 보는 것이 귀찮고 피곤하니까 ‘액면 그대로,’ ‘보이는대로,’ ‘무조건 믿으면’ 된다는 생각에서 비롯됩니다. 오늘 시인이 찬양하는 하나님의 능력과 구원은 나의 선함이나 순진함과 상관 없이 하나님이시니까 그렇게 하시는 일일 것입니다. 내 편에서 보면 하나님이 “나를 위해” 움직이신 것처럼 보여도, 또 설령 그것이 맞는 것 같아도 하나님은 당신이 정한 때에 우리에게 나타나십니다. 우리는 그저 기다리고 준비하고 깨어 있을 뿐입니다. 예수님이 광야에서 지낼 때 사탄이 나타나 유혹하면서 사용한 말씀입니다. 천사들을 시켜 지켜주실 것이니 한 번 뛰어내려 보라고, 믿고 해 보라고 부추깁니다. 유혹할 때 사용한 말씀입니다. 예수님은 뛰어 내리실 수 있었을 것입니다. 나중에 물 위도 걸으신 예수님인데 절벽에서 떨어지는 일이 딱히 어려운 일일리 없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하나님을 시험하지 말라”고 답하십니다. 이 답은, “내가 너의 말을 듣겠니, 하나님 말씀을 듣겠니 이 바보야!”의 뜻일 것입니다. “너 나를 순진하게 보는구나”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순진함이 죄가 될 수 있겠습니다. 게으르고 우둔한 것을 순진함으로 착각하지 않기를 원합니다. 깊은 성찰과 회개의 파도를 거치지 않은 채 믿음의 해안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바라지 말아야겠습니다. 예수님 도와주세요.

    Like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Blog at WordPress.com.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