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93편에서부터 시작된 “하나님의 통치”에 대한 시편 묶음의 마지막 시편입니다. 93편에서처럼 시인은 “하나님이 다스리신다”(1절)는 선언으로 시작합니다. “그룹”(1절)은 지성소 안에 자리 한 언약궤(증거궤) 뚜껑에 만들어진 형상을 가리킵니다. 그것은 하늘에 속한 존재를 형상화한 것으로서, 하나님은 모세에게 “내가 거기에서 너를 만나겠다”(출 25:22)고 약속하셨습니다. 그곳을 영어로는 mercy seat이라고 부르고, 우리 말로는 ‘시은소’라고 부릅니다. 이 시편은 성전 안에서 제사 드릴 때 불렀던 찬송이었을 것입니다. 성전에 모인 백성은 두꺼운 휘장에 가리워진 언약궤를 생각하며 이 찬송을 불렀을 것입니다.
시인은 “주님은 거룩하시다!”라는 고백을 세 번 반복합니다(3절, 5절, 9절). 히브리어의 ‘카도쉬’는 ‘구별됨’을 의미합니다. “주님은 거룩하시다!”라는 말은 “주님은 다르시다!”라는 말로 바꿀 수 있습니다. 온 우주와 세상 만물과 인류의 역사를 다스리시는 하나님은 거룩하신 분입니다. 창조주 하나님은 피조물과 구별됩니다. 우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이 세상에 신이라는 이름을 가진 존재들은 그 어떤 것도 거룩하지(“구별되지”) 않습니다. 인간의 손에 의해 지어진 것이기 때문입니다. 거룩하신 분 즉 피조물과 다른 존재는 오직 창조주 하나님 뿐입니다. 그분은 피조물에게서 볼 수 있는 모든 좋은 것의 총체이시며 또한 그 모든 것의 완전체이십니다. 그것을 알아보는 순간 우리는 그분 앞에 두려워 떨 수밖에 없습니다(1절).
시인은 하나님의 차별성이 특별히 그분의 정의와 공의에서 드러난다고 말합니다(4절). 하나님이 인간과 다르다는 사실은 정의와 공평에 대한 그분의 기준과 그것을 실행하시는 그분의 능력에서 드러납니다. 우주 만물의 질서와 인간 세상의 모습을 보면 그분의 정의가 얼마나 놀라운지를 깨닫게 됩니다. 이스라엘의 역사 또한 그분의 정의와 공의를 증거합니다(6-7절). 그래서 우리는 그분 앞에 엎드려 절하며 경배를 올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9절). 정말 우리와 다른 분, 우리와는 비교할 수 없는 분, 그분은 오직 하나님 뿐이기 때문입니다.
묵상:
우리는 때로 하늘을 우러릅니다. 이 땅에서는 볼 수 없는 어떤 것을 보고 싶어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때로 비싼 돈을 들여 여행을 떠납니다. 우리가 매일 경험하고 있는 것과는 다른 세상을 보고 싶기 때문입니다. 때로 우리는 세상과 단절한 채 깊은 산 속에 숨어들고 싶어집니다. 세상 살이에 지쳤기 때문입니다. 또 때로 우리는 일체의 활동을 멈추고 잠잠히 머물고 싶어집니다. 또 때로 우리는 무엇인가에 몰입하여 신비로운 체험을 하고 싶어집니다. 매일 반복되는 무미건조함에서 벗어나기를 소망하기 때문입니다.
이 모든 갈망과 소망은 하나님을 향한 우리의 깊고 강렬한 갈증에서 옵니다. 초월자, 절대자, 완전자이신 하나님을 향한 우리의 갈망이 그렇게 표출되는 것입니다. 우리의 하나님은 피조물과는 절대적인 차이를 가진 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분 앞에서 우리는 두려워 떨게 됩니다. 그분의 절대치의 거룩 앞에 서면 우리는 자신의 절대치의 부정을 자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현존에 눈 뜨는 순간 ‘이제 나는 죽었구나!‘ 하고 탄식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 하나님은 또한 절대치의 사랑을 가지신 분입니다. 그분은 그 사랑으로 우리를 용서하시고 품어 주십니다.
그분의 절대치의 거룩과 절대치의 사랑을 경험할 때 우리는 그분을 높여 경배하고 또한 그분께 순종하게 됩니다. 우리 스스로 발돋움하여 이 풍진 세상에서 솟아날 방법은 없습니다. 오직 전능자의 그늘에 들어갈 때에만 가능한 일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분 앞에 설 때 마다 고백하며 찬양합니다. “거룩, 거룩, 거룩! 오직 주님만이 거룩하시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