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시편 103편에서는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노래했는데, 104편에서는 하나님의 창조 사역을 두고 찬양을 올립니다. 이 시편은 이어지는 105편과 106편과 짝을 이룹니다. 시인은 104편에서 하나님께서 피조 세계를 어떻게 다스리시는지를 묘사한 다음, 105편과 106편에서 그분이 이스라엘의 역사를 통해 어떻게 다스려 오셨는지를 묘사하기 때문입니다.
이 시편은 내용 상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시인은 먼저 하나님의 위엄과 영광을 노래합니다(1-4절). 그 하나님은 세상을 창조하셨고(5-9절), 그 세상 안에서 온갖 생명이 살게 하십니다(10-18절). 그분은 우주의 운행을 주관하셔서 온갖 피조물이 생명을 누리게 하십니다(19-30절). 이 고백 끝에 시인은 평생토록 하나님의 영광을 찬양할 것이라고 다짐합니다(31-35절).
그는 먼저 창조주 하나님의 더 없이 위대하심을 찬양합니다. 온 우주와 그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들은 창조주 하나님이 얼마나 놀라운 분이신지를 드러냅니다. 마음의 눈을 뜨고 피조 세계를 통해 드러난 그분의 영광을 본다면 그분 앞에 엎드려 찬양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1-4절).
이어서 시인은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창조하시고 다스리시는 모습을 묘사합니다(5-9절). 이 부분은 창세기 1장의 서사를 시로 바꾼 듯한 느낌입니다. 피조 세계는 그분이 정하신 원리와 질서에 따라 움직입니다. 창조주 하나님은 당신이 지으신 세상 안에 온갖 생명을 창조하시고 모든 생명이 복을 누리도록 피조 세계를 돌보시고 다스리십니다(10-18절). 그 모든 것이 저절로 일어나는 자연 현상처럼 보이지만, 실은 하나님께서 보이지 않는 손으로 다스리시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그래서 시인은 구절마다 “주님께서…(개역개정, “여호와께서”) 혹은 “주님은…”이라고 말을 시작합니다.
시인은 거시적으로 하나님의 통치를 바라봅니다. 온갖 피조물이 주어진 생명을 누릴 수 있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우주를 질서있게 운행하시기 때문입니다(19-30절). 모든 생명은 창조주 하나님의 다스림 아래에 있습니다. 그분은 생명을 가져가기도 하시고 죽은 생명을 다시 일으키기도 하십니다. 이 대목에서 시인은 “주님께서 주님의 영을 불어넣으시면, 그들이 다시 창조됩니다. 주님께서는 땅의 모습을 다시 새롭게 하십니다”(30절)라고 고백합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전능하심에 대한 고백인데, 후에 그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일어날 일(새 하늘과 새 땅의 도래)에 대한 예언이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인은 숨이 다하는 순간까지 하나님을 찬양하며 그분을 묵상할 것이라고 다짐하면서 죄악을 행하는 사람들에게 돌아설 것을 촉구합니다(33-35절).
묵상:
무신론적 진화론자들은 자연이 연출하는 놀라운 다양성은 진화의 증거라고 말합니다. 반면, 하나님의 창조를 믿는 과학자들은 자연 세계의 다양성이 창조자의 존재를 증명한다고 말합니다. 창조를 믿는다는 말은 진화 과학을 부정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진화 과학이 증명해 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창조자의 존재를 부정하는 증거가 아니라 창조자의 위대하심을 증명하는 증거입니다.
미술관에 가서 위대한 예술작품을 감상하면서 그 작가를 생각하는 것처럼, 우리는 이 피조 세계를 감상하면서 창조주 하나님을 생각합니다. 때로 하늘을 가득 채운 은하수를 보면서 혹은 길가에 핀 이름 모를 들꽃을 보면서 우리는 온 우주를 창조하시고 운행하시는 창조자를 생각합니다. 그래서 바울 사도는 “이 세상 창조 때로부터,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속성, 곧 그분의 영원하신 능력과 신성은, 사람이 그 지으신 만물을 보고서 깨닫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핑계를 댈 수가 없습니다”(롬 1:20)라고 썼습니다.
피조 세계를 감상하면서 창조자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마치 작자 미상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는 전람회를 감상하는 것에 비할 수 있습니다. 감상자는 전시된 미술품들을 하나씩 관찰하면서 작가가 어떤 사람일지 추정해 봅니다. 작품을 모두 돌아 보고 한 구석에 서서 작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합니다. 그러던 중에 한 사람이 전람회 장으로 들어옵니다. 자신을 숨기고 살았던 작가가 전람회장에 나타난 것입니다. 감상자는 그 사람을 만나 대화를 나눈 후에 다시 작품을 돌아 봅니다. 모든 작품이 새롭게 보이고, 작가에 대해 더 잘 알게 됩니다.
그것처럼 우리는 피조 세계를 감상하며 창조주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를 생각해 봅니다. 그러다 보면 창조주 하나님이 어떤 분일지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분에 대해 더 분명히 알기 위해 더듬어 찾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더듬어 창조자를 알 방법은 없습니다. 작가가 전람회장에 들어서 자신을 소개하는 것처럼,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당신을 드러내 주셔야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에게 오셔서 창조주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를 알게 하십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창조주 하나님을 알고 다시금 그분의 작품을 감상합니다. 그분께 대한 우리의 믿음은 더욱 견고해지고 우리의 찬양은 더욱 뜨거워집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