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108편: 기도하는 이유

해설:

이 시편은 ‘다윗의 찬송시’로 되어 있습니다. 이 시편에는 앞에 나왔던 다윗의 두 시편이 결합되어 있습니다. 1절부터 5절까지는 57편 7-11절과 같고, 6절부터 13절까지는 60편 5-12절과 같습니다. 다윗이 과거에 당했던 것과 동일한 위기를 이스라엘이 만났을 때, 어떤 시인이 다윗의 두 시편을 결합하여 새로운 기도를 만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시편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1절부터 6절까지는 하나님께 올리는 고백과 간구입니다. 시인은 먼저 자신의 마음을 정했다는 사실을 반복하여 강조합니다(1절). 107편과 연결해 본다면, 다섯 번 반복된 후렴구 즉 “주의 인자하심에 감사하여라. 사람들에게 베푸신 주님의 놀라운 구원을 감사하여라”(1절, 8절, 15절, 21절, 31절)는 권면에 대한 응답으로 볼 수 있습니다. 시인은 새벽을 깨우고 일어나 온갖 악기로써 하나님을 찬양하겠다고 결의를 다집니다(2절). “만민 가운데서”와 “뭇 나라 가운데서”(3절)라는 말은 시인이 처한 상황을 암시합니다. 그는 하나님을 믿지 않는 불신의 땅에 홀로 서 있는 형국입니다. 그럼에도 그는 찬양을 멈추지 않겠다고 고백합니다. 하나님은 찬양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유일한 분이기 때문입니다(4-5절). 이렇게 고백한 후에 시인은 하나님의 구원을 간구합니다(6절). 지금 이스라엘은 다시금 위기를 맞고 있기 때문입니다. 

7절부터 9절까지는 시인이 기도 중에 들은 하나님의 응답입니다. “하나님께서 그 성소에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7절)라는 말은 지금 시인이 성소에 있다는 뜻입니다. 구원을 호소하는 깊은 기도에 하나님은 모든 나라가 당신의 다스림 아래에 있으며 이스라엘은 당신의 사랑의 대상임을 확증해 주십니다. “세겜을 나누고, 숙곳 골짜기를 측량하련다”(7절)는 말씀은 요단강 동편 땅을 소유로 삼겠다는 뜻입니다. 길르앗, 므낫세, 에브라임, 유다(8절)는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를 말합니다. 모압과 에돔과 불레셋(9절)은 이스라엘의 숙적입니다. 하나님은 그 민족들 마져도 결국 정복하실 것이라고 약속하십니다.   

10절부터 13절까지는 하나님의 응답을 듣고 난 후에 드리는 기도입니다. 시인은 다시금 하나님의 구원을 호소합니다. “에돔”(10절)은 지금 이스라엘이 대면하고 있는 새로운 적을 가리킵니다. 지금 이스라엘은 하나님에게서 버림 받은 것과 같은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11절). 시인은 “사람의 도움은 헛되니”(12절) 하나님께서 도와 주시기를 기도합니다. 그런 다음, 시인은 하나님께서 자신과 함께 할 것이라는 사실과 하나님이 함께 하시면 반드시 전쟁에서 이길 것이라는 사실을 고백하면서 기도를 마칩니다(13절).

묵상: 

시인은 과거에 다윗이 만났던 것과 비슷한 위기를 만납니다. 그는 그 상황에서 다윗이 드렸던 기도를 기억해 내고 그것을 자신의 기도로 만들어 올립니다. 이것이 우리가 오늘 시편을 읽고 묵상하는 이유입니다. 시편을 하나씩 읽고 묵상해 가다 보면 과거에 누군가가 지금 내가 당한 사정과 동일한 상황에서 올린 기도문을 만납니다. 그럴 때면 수천 년의 시차가 사라지고 그 기도가 지금 나의 기도가 됩니다. 그리고 다윗에게 함께 했던 동일한 하나님께서 지금 나에게도 동일하게 역사하실 것을 믿습니다. 

우리의 삶의 여정에서도 다윗이 경험했던 것과 같은 위기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것이 질병일 수도 있고, 사고일 수도 있으며, 관계의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 위기를 만나 꼼짝 없이 죽게 되었다는 두려움이 압도할 때, 가장 먼저 할 일은 하나님을 찾는 일입니다. 그럴 때면 내 자신의 말로 기도하기 어렵습니다. 기도가 나오지 않습니다. 기도할 말이 떠오르지 않습니다. 그럴 때 시편의 기도를 읽고 그것을 자신의 기도로 만들어 올리는 것은 매우 중요한 영적 훈련입니다. 

그렇게 기도할 때 우리는 하나님이 나를 위협하는 적까지도 다스리시는 분임을 깨닫습니다. 기도는 하나님께 대한 믿음으로 드리는 것이지만 또한 믿음을 회복시키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기도하기 이전의 마음 상태와 기도한 이후의 마음 상태가 같을 수 없습니다. 기도를 시작할 때는 원수의 세력에 짓눌려 공포에 떨었지만, 기도를 마치고 나서는 이길 수 있다는 확신과 용기를 얻었습니다. 그것이 기도의 힘입니다. 

5 responses to “시편 108편: 기도하는 이유”

  1. 매일 이른 아침에 말씀을 허락하신 주님께 영광을 드립니다. 은혜로 주님의 지성소로 초청 하시는 사랑에 감사를 드립니다. 주님은 온 우주의 유일한 하나님 이십니다. 헛된 세상의 모든 우상들을 벗어 버리고 맨발로 주님앞에 나왔습니다. 주님의 사랑과 말씀으로 충분히 충전되어 믿음의 친족 들과 더불어 승리의 삶을 살아내는 오늘이 되도록 도와주십시오. 아멘.

    Like

  2. 눈을 뜨면서 대면하는 주님의말씀 앞에 내 자신을 비추어 보며 지나간 시간들을 정리하며 앞으로 올 시간들을 준비 합니다.
    모든 것들이 주님의은혜였을을 개닫게 해 주시고 그져 감사하며 주님앞에 나아갈 뿐임니다.
    그 때 다웃과 함께 해 주셨던 주님 이제 우리와 함께 해 주시고 지진으로 인해 어려움을 격고있는 그 들에게도 함께하여 주시어 소망을 갖고 이 어려움을 헤쳐나가도록 격려해 주시기를 기도합니다.

    Like

  3. “구하여라, 그리하면 하나님께서 너희에게 주실 것이다. 찾아라, 그리하면 너희가 찾을 것이다. 문을 두드려라, 그리하면 하나님께서 너희에게 열어 주실 것이다.:구하는 사람마다 얻을 것이요, 찾는 사람마다 찾을 것이요, 문을 두드리는 사람에게 열어 주실 것이다(마 7:7~8) 주신말씀을 믿고 오늘도 간절히 구하옵는것은 아직도 부족하고 연약합니다. 성령님께서 동행하여주시고, 삶의 지혜를 주시므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이 되게해주시옵소서. 아멘. 하나님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Like

  4. Taekhwan - T.K. Lee Avatar
    Taekhwan – T.K. Lee

    매일 말씀을 묵상하고 기도하는 것은 기초체력단련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찌보면 보잘 것 없어보이지만, 위기를 만났을때, 다시 한번 하나님 앞에 엎드리고 하나님의 뜻을 구할 수 있는 힘을 발휘하게 됩니다. 하나님 말씀과 뜻을 받아들이는 준비를 잘하게 하소서!

    Like

  5. 기도하기 전과 후가 다릅니다. 상황을 바꿔달라는 기도를 했기에 달라지는 경우보다 상황과 문제를 보는 나의 마음이 먼저 달라지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경황이 없는 중에도 우리는 기도합니다. ‘주님 도와주세요’ 이 말 밖에는 나오지 않는 다급한 때도 있고, 깊은 후회와 안타까움에 휩싸여 눈물이 말을 막는 때도 있습니다. 이렇게 간절한데, 이리도 아픈데 ‘말이 무슨 소용인가’ 싶을 때도 있습니다. 시편을 읽는 요즘도 읽는 것으로 그치는 아침이 있고, 시인의 마음이 되어 함께 기도하는 날이 있습니다. 시편의 기도는 실시간에 올리는 기도이면서 또한 기억의 산물이기도 합니다. 비록 시인은 지금 여기에 없어도 그의 기도는 우리와 함께 이 순간을 살고 있습니다. 한편으론 시인이 겪었던 상황의 자취로 남은 것도 있습니다. 그의 상실과 승리가 어떠했는지 상상할 수 있게 합니다. 궁지에 몰리고 억울함을 당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희망을 붙들고 있었는지 시편을 읽으며 배우게 됩니다. ‘사귐의 소리’ 묵상을 하면서 글을 남기는 것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쓰는 행위는 다 그런 뜻을 품는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살아가는 것 자체가 기도요 예배인데 글을 씀으로써 우리는 한 번 더 기억합니다. 시편의 기자들이 눈물로 쓴 편지를 읽으며 나도 같이 웁니다. 희망이 없는 세상에서, 혼자인 것 같은 세상에서 시편을 읽으며 위로를 받습니다. 주님의 구원을 확인하고 감격해 하는 시편을 읽으면 탄성이 터져 나옵니다. 소리 높여 찬양합니다. 시편을 읽기 전과 후가 다릅니다. 읽기 전에는 혼자였는데 읽으면서는 ‘공동체’가 됩니다. ‘백성’이 됩니다. 기억의 힘입니다. 기록의 힘이기도 합니다. 쓰는 것이 남는 것이다…시편을 기록하고 남기게 하신 주님 감사합니다.

    Like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Blog at WordPress.com.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