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신도들에게 일어난 일들이 사람들에게 퍼져 나가고 여러가지 의혹이 제기되자 베드로가 사도들을 대표하여 설교합니다. “목소리를 높여서”(14절)라는 표현을 미루어 보면,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었음이 분명합니다. 그의 설교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첫째는 지금 일어난 일에 대한 해석이고(14-21절), 둘째는 예수님에 대한 설명입니다(22-36절).
먼저, 베드로는 자신들이 술에 취한 것이 아니라고 말한 다음(15절) 요엘의 예언(욜 2:28-32)을 인용합니다. “마지막 날”(개역개정 “말세”)은 하나님께서 정하신 ‘구원의 날’을 가리킵니다. 하나님께서 당신의 영을 제한 없이 부어 주시는 날이 올 터인데, 그것이 ‘구원의 날’이 시작되었다는 징표라는 것입니다. 요엘의 예언이 지금 그들 가운데 성취되고 있으며, 자신들이 말하는 방언은 성령께서 시켜서 하는 예언이라는 뜻입니다. “예언”의 원래 의미는 미래의 일을 미리 알려 주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 앞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것이었습니다. 신도들이 성령 충만하여 방언으로 말한 내용은 “하나님의 큰 일들”(11절)이었습니다.
이 지점에서 베드로는 예수님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갑니다. 그는 먼저 하나님께서 여러 가지의 이적을 통해 예수님이 어떤 분인지를 보여 주셨다고 말합니다(22절). 하나님은 미리 정하신 것처럼 예수님을 죽음에 넘겨 주셨는데, 그 일은 유대인들이 로마인들(“무법자들”)의 손을 빌어 실현시켰습니다(23절).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분을 죽은 자들 가운데서 일으키셨습니다(24절). 여기서 베드로는 시편 16편 8-11절을 인용합니다(25-28절). 그는 이 시편에서 다윗이 그리스도의 부활을 예언했다고 해석합니다(29-31절). 그 예언대로 예수님은 부활하셨고, 베드로와 사도들은 그 일의 증인입니다(32절). 하나님은 부활하신 예수님을 당신의 오른쪽에 앉히셨고, 예수님은 약속하신 성령을 부어 주셨습니다. 그것이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의 진상입니다(33-33절). 여기서 베드로는 시편 110편 1절을 인용합니다(34-35절). 그것 역시 다윗이 예언한 일이라는 뜻입니다.
이렇게 말한 다음, 베드로는 이스라엘의 온 집안에게, 그들이 십자가에 못박아 죽인 예수를 하나님께서 “주님과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다고 증언합니다(36절).
묵상:
베드로는 지금 그들에게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구약의 예언에 비추어 해석합니다. 신도들이 성령의 충만함을 입어 방언으로 말하고 있는 것은 요엘을 통해 예언한 사건이 성취된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성령을 제한없이 부어 주심으로 구원의 역사를 완성하시는 날을 정하셨는데, 그날이 왔다고 믿은 것입니다. 그것은 또한 부활하시고 승천하신 예수께서 약속하신 일입니다. 그 약속이 그대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베드로는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들이 하나님께서 태초부터 이루어 오신 거대한 구원 계획에 따라 일어나는 것이라고 본 것입니다.
인간사와 세상사를 보는 베드로의 시각이 성령의 충만함을 받은 후에 결정적으로 달라졌습니다. 과거에도 그는 하나님을 믿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태초부터 진행되어 온 하나님의 거대한 구원 계획을 보지 못했습니다. 또한 그는 인간사와 세상사 모두가 하나님의 구원 계획 안에 있다는 사실을 철저하게 믿지 못했습니다. 하나님은 기껏해야 멀리서 팔짱을 끼고 지켜 보다가 가끔 개입하신다고 믿었습니다. 심지어 예수님을 따라 다니면서 그분을 통해 일어나는 일들을 보고도 그의 시각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예수께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실 때 그가 열망했던 모든 소망과 기대가 산산히 깨어지고 난 다음, 부활하신 주님을 만나 새로이 회복되고, 승천하신 주님의 약속대로 성령의 충만함을 받은 후에야 베드로는 비로소 현실을 제대로 보게 되었습니다. 인간사외 세상사는 하나님의 거대한 구원 계획 안에 있으며, 우연이나 사고처럼 보이는 일들도 실은 하나님의 다스림과 섭리 가운데 있음을 믿게 되었습니다.
믿음은 이처럼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와 돌보심을 믿고 사는 것입니다. 그런 눈으로 일상사를 보고 그분의 손길을 보는 것입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