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2장 37-47절: 성령의 열매

해설:

베드로의 설교는 듣는 이들의 마음에 큰 감화와 감동을 일으켰습니다. 듣는 이들은 자신들이 그리스도의 죽음에 무관하지 않다고 느끼고 베드로와 사도들에게 “형제들이여, 우리가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37절)라고 묻습니다. 그러자 베드로가 회개하고 세례를 받으면 죄 사함의 은혜를 받게 될 것이며, 그렇게 되면 성령을 선물로 받게 될 것이라고 답합니다(38절). 그것은 유대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멀리 떨어져 있는 모든 사람”, 39절)에게 주시는 약속입니다. 베드로는 많은 말로 그들에게 설교 했고, 많은 이들이 세례를 받습니다(40절). 누가는 “그 날에 신도의 수가 약 삼천 명이나 늘어났다”(41절)고 기록합니다. 

이렇게 하여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은 새로운 운동을 촉발시켰습니다. 42-47절 사이의 내용은 이 운동이 어느 정도 지속된 후에 일어난 결과를 요약하여 설명합니다.  

사도들의 증언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된 사람들은 새롭고 독특한 공동체(이 공동체가 나중에 “교회”라고 불립니다)를 형성합니다. 누가는 그들이 “사도들의 가르침에 몰두하며, 서로 사귀는 일과 빵을 떼는 일과 기도에 힘썼다”(42절)고 기록합니다. 사도들을 통하여 놀라운 일과 표징이 계속 일어났고, 그로 인해 사람들에게 “두려운 마음”이 생겼습니다(43절). 그들 가운데 하나님께서 역사하고 있음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그 공동체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모든 것을 공동으로 소유한 것에 있습니다(44절). 성령의 역사가 이런 변화를 만들어낸 것입니다. 그들 중에 부유한 사람들은 재산과 소유물을 팔아서,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대로 나누어 주었습니다(45절). 그들은 매일 성전에 모여 기도했고, 돌아가면서 가정에 모여 애찬을 나누었습니다(46절). 기쁨과 찬양이 그들의 특징이 되었습니다(47절). 그 결과로 그들은 모든 사람에게서 호감을 샀고, 믿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졌습니다.

묵상:

오순절에 신도들에게 일어난 ‘이상한 사건’은 뒤이어 일어난 일들을 통해 성령의 역사였다는 사실이 입증 되었습니다. 크게 두 가지의 변화가 이어졌습니다. 

하나는 개인적인 변화입니다. 믿는 이들은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님을 깨닫고 그들 가운데서 일하시는 성령의 임재에 눈 떴습니다. 그들은 인간사와 세상사가 하나님의 다스림 아래에 있으며 그분의 섭리 안에 있음을 믿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믿자 그들은 자신을 이웃에게 활짝 열 수 있었고, 자신의 소유를 이웃을 위해 내어 놓을 수 있었습니다. 과거에는 물질적인 소유로 안심을 찾으려 했지만, 이제는 하나님 안에서 평안을 얻었습니다. 그로 인해 그들은 기쁨과 감사와 찬양으로 살았습니다. 

다른 하나는 운명 공동체가 형성되었다는 것입니다. 믿는 이들은 자원하여 모이기를 힘썼고, 사도들의 가르침에 경청했으며, 소유와 음식을 함께 나누었습니다. 믿음 안에서 삶을 공유하는 ‘교제’(코이노니아)가 일어났습니다. 헤어지면 보고 싶고 만나면 헤어지기 싫었습니다. 그들 사이에 뜨거운 사랑이 임했기 때문입니다. 예루살렘에 그런 공동체는 전에 볼 수 없었던 ‘현상’이었고, 사람들로부터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것은 후대 교회에게 하나의 ‘신화’가 되었습니다. 믿음의 공동체가 늘 그럴 수는 없지만 그렇게 되도록 기도하고 힘써야 합니다.

성령의 역사는 언제나 열매로써 확증되어야 합니다. 개인에게 일어난 성령 체험도, 공동체에게 일어난 성령의 역사도 그 현상 자체만으로는 진정성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그런 현상은 악한 영에 의해 일어날 수도 있고, 심리적인 현상일 수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열매가 없습니다. 아니, 심한 문제가 이어집니다. 우리가 소망하고 바랄 것은 오직 성령의 아름다운 나타나심입니다. 우리 개인의 삶에 그리고 공동체의 삶에 꼭 필요한 것이 바로 이것입니다.     

5 responses to “사도행전 2장 37-47절: 성령의 열매”

  1. 교회를 떠나는 삐뚤어진 세대입니다. 잘못된 세대의 책임이 우선 성도라고 자칭하는 이기적인
    내자신 부터 입니다, 십자가 밑에서 무릎을 꿇고 회개합니다. 성령의 세례를 받고 변화되고
    새로워 지는 믿음이 필요합니다. 성도들이 말씀을 듣고 순종해서 서로 자주 모이고,나누고,
    섬김을 세상이 보고 교회를 찾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아멘.

    Like

  2. “회개 하십시오. 그리고 여러분 각 사람은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용서하심을 받으십시오, 그리하면 성령을 선물로 받을 것입니다”(37절) 주님을 믿는다고 하면서 다가오는 일을 걱정하고 때로는 의심하였음을 회개합니다. 주님! 날마다 말씀과 기도로 주님과 사귐을 통하여 나의 삶을 온전히 주님께 맡기고 살아가게 하옵소서. 아멘. 하나님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Like

  3. Taekhwan - T.K. Lee Avatar
    Taekhwan – T.K. Lee

    열매가 드러나는 성령이 충만한 삶이 되기를 기도합니다. 내 삶과 가정, 그리고 교회와 사회 가운데 하나님의 성령의 열매가 드러나고 진정한 복음으로 사는 삶이 되기를 기도합니다.

    Like

  4. 오늘 본문이 소개하는 새롭고 독특한 공동체의 모습이 우리가 꿈꾸는 교회의 낭만이요 이상이며 모델입니다. 예루살렘에 일어난 이 공동체의
    운동이 예수를 믿는 사람들이 지향하는 공동체의 원형이 되었고 ‘신화’가 되었습니다. 지금도 교회에서 회의할 때 ‘교회’는 이러 이러
    해야 한다고 말할 때 예로 드는 본문입니다. “날마다-한마음으로-집집마다 돌아가며-기쁘고 순수한 마음으로-식사를 하고-하나님 찬양을
    하고-모든 사람에게서 칭찬을 받았다 (46-47절)” 이것의 전 단계는 재산과 모든 소유를 팔아 필요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고 다 함께
    모여 모든 물건을 공동체로 사용하며 사는 일 (44-45절)이었습니다. 여기서 고민이 생깁니다. ‘그 때는 맞고 지금은 아니다’라는
    말은 이런 본문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닐까 해서 생기는 고민입니다. 문자 그대로 따라 하는 사람들의 모임이 있었습니다. 어렸을 때 집에
    자주 오던 ‘신앙촌 아줌마’가 생각납니다. 딱히 좋아 보이거나 따라 하고 싶은 모습은 아니었습니다. 유사한 공동체들이 여기 저기
    있었는데 세상에 알려진 것은 주로 불법 행위나 추한 스캔들로 인해서 입니다. 컬트인지 제대로 된 교회인지 구별하기 어렵다면 교회가 아닐
    확률이 높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그만큼 44절부터 47절에 나타난 예루살렘 공동체의 모습은 비현실적입니다. 그러나 오늘 우리가 이루고
    싶어하는 교회의 모습이라는 데는 변함이 없습니다. 사람이 가지는 열정과 열심은 여러 가지로 표현이 됩니다. 타고난 재능과 만나 놀라운
    업적을 이루기도 합니다. 학문적인 연구로 나타나면 기술이나 이론으로 열매를 맺기도 하고, 예술과 결합해 인류 문명에 이바지 하기도
    합니다. 열심과 정성이 위험한 경우도 있는데 종교적인 열심이 그렇습니다. 종교로 인한 전쟁이 무섭다는 것을 역사에서 보았습니다. 종교적
    신념이 일으키는 혐오의 비극을 지금도 봅니다. 가장 귀한 선물이 가장 위험한 독으로 변할 수 있다는 사실 앞에서 두려움을 느낍니다.
    그래서 겸손이 어려운가 봅니다. 가장 좋은 것을 받았다는 기쁨이 교만으로 변하는 것은 너무 쉽기에…성령의 활동을 감사한 마음으로
    보게 하소서 그리고 내 마음을 낮추고 작아지게 하소서. 겸손하게, 조심스럽게, 천천히, 조용하게 사는 법을 거스르지 않게 하시고,
    단호하고 분명하게 행해야 할 때를 성령님 알려 주소서. 감사합니다 주님.

    Like

  5. 제게 뜨거움과 분별력을 함께 주시길 기도합니다.

    Like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Blog at WordPress.com.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