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땅에 임한 하나님 나라’와 같은 모습이었던 예루살렘 교회에 서서히 균열이 생겨납니다. 그 첫 사례가 아나니아와 삽비라의 사건이었다면, 두 번째 사례는 “그리스 말을 하는 유대 사람들”과 “히브리 말을 하는 유대 사람들”(1절) 사이의 갈등이었습니다. “그리스 말을 하는 유대 사람들”은 이방 도시에서 살다가 예루살렘에 돌아와 살고 있던 사람들이고, “히브리 말을 하는 유대 사람들”은 본토에서 계속 살았던 사람들을 말합니다. “그리스 말을 하는 유대 사람들”은 미국에서 살다가 역이민한 사람들에 비할 수 있습니다. 두 그룹 사이에는 묘한 이질감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앞에서 본 것처럼, 오순절 성령 강림 후에 예루살렘 교회에 속한 사람들 사이에는 자신의 재산을 팔아 헌금하는 운동이 자발적으로 생겨났습니다. 그러다 보니 봉헌된 물질을 관리하고 분배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 되었습니다. 은혜가 충만할 동안에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은혜는 식어들고 교인들이 많아지니 서서히 불만과 불평이 생겨났습니다. 특별히 “그리스 말을 하는 유대인들”이 구제비 배분에 있어서 차별을 당한다고 불만을 토로했습니다(1절). 실제로 차별이 있었는지, 소수자의 자격 지심이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처음에 사도들은 그 불만을 들어주고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공동체가 점점 커지다 보니, 사도들이 그 일을 감당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 일로 인해 기도하고 말씀 전하는 일에 사용할 시간과 에너지를 빼앗겨 버렸습니다(2절).
사도들은 사역을 분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신망이 있고 성령과 지혜가 충만한 사람”(3절)을 뽑아 교인 돌보는 일을 맡기기로 마음 먹습니다. 교인들은 사도들의 제안을 좋게 여기고 일곱 사람을 뽑습니다(5절). 여섯 명은 유대인으로서 헬라말을 사용하는 사람들이었고, 한 사람은 이방인으로서 유대교에 개종한 사람이었습니다. 사도들은 모두 히브리 말을 하는 본토 사람이었으니, 일곱 사람은 모두 헬라말을 하는 사람들 중에서 뽑아 세운 것입니다. 사도들은 기도하고 그들에게 안수하여 공동체의 지도자로 세웁니다(6절). 이렇게 하여 일곱 사람은 교인들을 돌보는 일에, 사도들은 가르치고 전도하는 일에 전념합니다.
교회가 당한 또 하나의 위기를 지혜롭게 극복하자 교회는 다시 성장합니다. 여기서 누가는 제사장들 중에도 믿는 이들이 많았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7절).
묵상:
성령의 ‘임재’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우리가 믿음을 완전히 버리지 않는 한 성령께서는 언제나 우리 안에 함께 계십니다. 하지만 성령의 ‘충만’에는 변화가 있습니다. 모든 관계가 그렇듯이, 내 안에 계시는 성령과 내가 어떤 관계를 유지하느냐에 따라서 충만해지기도 하고 약해지기도 합니다. 성령께서 충만하게 역사할 때면 인간적인 모든 약점과 허물은 그 안에 감추어집니다. 사람이 할 수 없는 일들이 성령을 통해 일어납니다. 반면, 성령의 충만이 약해지면 감추어졌던 허물과 약점이 드러납니다. 그렇기에 매일 성령께 자신을 내어 드리고 그 능력에 사로잡혀 살아가도록 힘써야 합니다. 성령께서 충만하게 역사하면 외모에서조차 광채가 발산되곤 합니다.
믿음의 공동체 즉 교회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교회로 모인 사람들 가운데 성령이 충만할 때면 사람들로서는 행할 수 없는 놀라운 일들이 일어납니다.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허물과 약점이 덮어집니다. 반면, 믿는 이들 가운데 성령의 임재가 충만하지 않으면 인간적인 요소들이 흉한 모습을 드러냅니다. 히브리파 유대인들과 헬라파 유대인들 사이에 일어난 갈등의 원인은 성령의 충만함이 약해진 데 있습니다. 성령의 충만함에 거하지 못했기에 구제에 있어서 차별적 행동이 일어났고, 그런 차별에 대해 불평하는 사람들이 생긴 것입니다.
그럴 때 인간적인 계산과 전략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해서는 안 됩니다. 교회의 문제는 성령의 방법을 따라 해결해야 합니다. 그것이 공동체의 위기 앞에서 사도들이 보여 준 모범입니다. 그들은 무엇이 우선인지를 정확하게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교회의 사역을 나누어 분담하는 제도를 만듭니다. 또한 그들은 그 모든 일을 성령께서 이끄시는 지혜를 따라 행합니다. 그로 인해 교회는 갈등을 치유하고 다시금 도약합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