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14장 8-20절: 신이 되고 싶은 욕망

해설:

루스드라는 이고니온에서 남쪽으로 약 30킬로 정도 떨어져 있던 곳입니다. 그곳에는 유대인의 회당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거리에서 말씀을 전합니다. 그 말씀을 들은 사람들 중에 태어날 때부터 발을 쓰지 못하는 장애인이 있었습니다(8절). 그가 바울의 가르침을 듣는 중에 믿음이 일어납니다(9절). 바울 사도는 그의 눈빛에서 믿음을 알아보고는 “그대의 발로 똑바로 일어서시오”(10절) 하고 명령합니다. 그 장애인은 즉시로 일어나서 걷습니다.

그것을 본 사람들은 바울과 바나바를 신으로 간주합니다(11절). 그리스-로마 사람들은 신들이 언제든지 인간의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에게서 특별한 지혜나 능력이 보이면 그 사람을 신으로 여기곤 했습니다. 그들은 바나바를 제우스로, 바울을 신의 대변자인 헤르메스로 간주합니다(12절). 

그곳에는 제우스 신당이 있었는데, 제사장이 그 소식을 듣고 황소 몇 마리와 화환을 성문 앞에 가지고 와서 사람들과 함께 바울과 바나바에게 제사를 드리려 합니다(13절). 그것을 보고 두 사도는 그들 사이에 들어가 옷을 찢으며 만류합니다(14절). 두 사도는, 자신들은 그들과 같은 사람들이며, 자신들이 그들을 찾아 온 이유는 그와 같은 어리석은 우상 숭배를 버리고 참된 하나님을 섬기게 하려는 것이라고 말합니다(15절). 하나님은 “지나간 세대”에는 이방인들이 자신들 방식대로 살도록 내버려 두셨지만 이제는 그래서는 안 된다고 했습니다(16-17절). 그렇게 하여 두 사도는 겨우 그들의 제사 행위를 말립니다(18절).

그러는 중에 유대 사람들이 안디옥과 이고니온에서 찾아와 군중을 설득하여 두 사도를 공격 합니다. 다행히 바나바는 그들의 마수를 피했으나 바울은 그들에게 잡혀 돌에 맞아 실신합니다. 사람들은 그가 죽은 줄 알고 성 바깥에 내다 버립니다(19절). 성난 군중이 돌아가자 바나바와 다른 신도들이 그를 찾습니다. 다행히 바울은 정신을 되찾았고 기력을 회복한 다음 바나바와 함꼐 더베로 갑니다(20절).

묵상:

첫 사람에게서 물려 받은 원죄의 핵심은 신이 되고 싶고 신처럼 살고 싶은 욕망입니다. 뱀은 하와에게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따 먹으라고 유혹하면서 그 열매를 먹으면 하나님처럼 될 것이라고 속입니다(창 3:5). 신처럼 되고 신처럼 살고 싶은 욕망을 자극한 것입니다. 그 결과로 인해 사람은 누구나 신처럼 되고 신처럼 살고 싶은 욕망을 안고 삽니다. 능력이 있는 사람들은 권력으로, 돈으로, 인기로, 사기술로 그 욕망을 이루려 합니다. 그럴 능력이 없는 사람들은 신처럼 보이는 사람에게 자신을 내어 맡김으로써 그 욕망을 이루려 합니다. 그것이 최근에 <나는 신이다>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를 통해 생생하게 증명되었습니다. 영적 사기꾼이 된 교주들도, 그들에게 몸과 마음을 다 바친 신도들도 모두 그 욕망에 속아 넘어간 것입니다.

참된 신앙은 그 욕망의 정체를 똑바로 보고 그것을 끊임없이 부정하는 것입니다. 고넬료의 집을 방문했을 때 그집 사람들은 베드로를 신처럼 떠받듭니다. 그러자 베드로는 “일어나십시오, 나도 역시 사람입니다”(10:26)라고 말하며 그들을 일으켜 세웁니다. 루스드라 사람들이 바울과 바나바를 신으로 여기고 제사를 드리려 하자 그들은 무리 가운데 뛰어 들어가 옷을 찢으며 만류합니다. 온갖 사술을 동원하여 자신을 신으로 섬기도록 만드는 종교 사기꾼들과 정반대로 말하고 행동한 것입니다. 그들은 자신이 누구이며 자신 안에 어떤 욕망이 숨어 있으며 하나님께서 자신들에게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신이 되고 싶고 신처럼 살고 싶은 욕망, 이것이 우리가 매일 경계하고 싸워야 할 죄의 뿌리입니다.  

5 responses to “사도행전 14장 8-20절: 신이 되고 싶은 욕망”

  1. 피조물인것을 믿고 인간으로서 한계가 있다는것을 깨닫게하신 주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메시아라고 주장하는 사이비 들에게 유혹되어 너머지지 않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마지막 숨쉴때까지 믿음의 식구들과 함께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예수그리스도의
    발자취만 따르도록 도와주십시오. 아멘.

    Like

  2. 피조물이 창조주이신 하나님과 같이 되려는 어리석은 욕망을 십자가 앞에 내려놓고 말씀을 날마다 묵상하고 그 말씀에 순종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시옵소서. 아멘. 하나님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Like

  3. 인류의 문화 발생은 신의 이해에서 출발한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닐 것입니다. 인간이 신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누구라고 보았는지가 문화 발원의 큰 줄기를 이룹니다. 신의 이해는 인간 자신의 이해와 연결 되어 있습니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동과 서의구분이나 문명의 세련도와 상관 없이 신은 인간의 역사 속에 분명하게 자리하고 있습니다. 우리에겐 신을 ‘찾는’ 마음이 애초부터 들어 있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본능처럼 신을 찾고 보려고 합니다. 생명을 지키려는 처절한 방어에서 비롯 되었는지, 종족을 확장 하려는 공격적인 의지의 발현인지 모르지만 (둘 다 동시에 작동한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은데) 사람은 늘 신을 찾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신을 믿느냐 믿지 않느냐가 아니라 어떤 신을 믿는지, 어떤 신앙으로 사는지를 묻고 살피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나는 신이다” 다큐멘터리를 보았습니다. 관람평을 몇 개 읽고 난 뒤에 조심스럽게 틀었다가 첫 회 시작 부분에서 충격을 받아 끝까지 볼 수가 없었습니다. 구역질이 났습니다. 2, 3 주간 지난 뒤에 ‘아가동산’과 ‘만민교회’ 사건을 보았습니다. 둘 다 다니던 방송사 직장과 관계가 있어서 조금은 특별한 관심을 갖고 보았습니다. 괴롭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평소에도 넷플릭스에서 컬트나 종교집단 프로그램을 찾아 가끔씩 보는데 “나는 신이다”에서 본 교주나 신도들 정도는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오늘 본문에서 이방 도시 사람들은 바나바와 바울의 능력을 보고 즉각 신격화 합니다. 헤롯 앞에서 “사람의 소리가 아니라 신의 소리다!” 외쳤던 것처럼 그들은 신이 내려왔다! 당신은 신이십니다! 오 신이여! 이런 소리를 수시로 외치며 살던 사람들인가 봅니다. 왕은 곧 신의 사람, 신이 내린 사람이라는 신념에서 왕정이 생긴 것을 생각해 볼 때 한 집단의 지도자나 수장을 곧 ‘하늘이 낸 사람’이라고 보는 시각은 자연스럽기까지 합니다. 또 한번, 어떤 신을 믿는지 묻습니다. 나의 신앙의 대상, 내가 믿는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묵상합니다. “나는 신이다”를 보고 느낀 것이 한 가지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어딘가에 속하고 싶어 합니다. 우리 마음은 누군가에게 가고 싶어 합니다. 집단 최면이든, 현실 도피든, 유토피아 건설이든 우리는 누군가와 같이 살고 싶어 합니다. 그 누군가가 누구인지 매일 물어야 합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선택하시듯 나도 하나님을 선택합니다. 오늘 나는 신이 아닌 사람으로 살겠다고 선택합니다. 오늘 나는 예수님을 나의 신으로, 나의 주인으로 선택합니다.

    Like

  4. Taekhwan - T.K. Lee Avatar
    Taekhwan – T.K. Lee

    오늘도 하나님처럼 되고 싶은 마음, 하나님의 자리를 탐내지 않기를 기도합니다. 선과 악을 구별하는 것은 하나님의 영역임을 기억하며, 내 기준대로 남을 판단하거나 비판하기 보다는 겸손히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게 하소서.

    Like

  5. 나의 판단이 자기 의인지 하나님의 인도하심인지 구별이 함듭니다. 이단이나 미신에 빠지는 사람들이 흔히 말해 돈과 성공의 유혹에 빠지는 경우가 많아 욕을 많이 먹는것이 사실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많은 사람들이 사회에서 더이상 붙잡을 곳이 없어 빠지기도 합니다. 내가 아무리 치료를 해도 나을수 없는 환자이거나 도저히 경제적으로 희망이 없는 상황에서 누군가라도 의지할수 밖에 없을거에요. 취직이 힘든 젊은 이들이 요즘 이단에 많이 빠지는 것도 그런 이유이겠지요. 내가 그런 비참한 상황을 한번도 경험해 본적이 없으면서 좋은 동네 안전한 집에 식사걱정 없이 편하게 살면서 과연 기댈곳 없는 사람들이 잘못된 길을 가는것을 비읏으며ㅣ정죄할수 있을까, 하나님이 저의 정죄하는 모습을 기뻐하실지는 의문입니다. 하나님은 분명히 그들이 잘 못된 길에 있는것을 슬퍼 하실 것입니다. 제 자신을 겸손하게 열리게 하시길 간절히 기도합니다. 그리고 그들이 주님의 품으로 오길 기도합니다.

    Like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Blog at WordPress.com.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