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26장 24-32절: 미친 사람은 누구인가?

해설:

바울이 변호하는 말을 듣고 있던 베스도 총독은 더 이상 참지 못하고 “바울아, 네가 미쳤구나. 네 많은 학문이 너를 미치게 하였구나”(24절)라고 말하며 변호를 중단시킵니다. 그는 바울이 그리스 철학과 유대교 율법에 정통한 학자임을 알아 보았습니다. 그런 사람이 죽은 사람이 부활했다는 해괴망칙한 주장을 하고 있으니 더 이상 들어 줄 수가 없었던 겁니다. 그러자 바울은 자신이 미치지 않았음을 밝히면서 아그립바 왕에게 예수님의 부활에 대해 듣지 않았느냐고 반문합니다(25-27절). 아그립바는 “그대가 짧은 말로 나를 설복해서,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려고 하는가!”(28절)라고 호통을 칩니다. 그러자 바울은 “짧거나 길거나 간에, 나는 임금님뿐만 아니라, 오늘 내 말을 듣고 있는 모든 사람이, 이렇게 결박을 당한 것 외에는, 꼭 나와 같이 되기를 하나님께 빕니다”(29절)라고 답합니다.

모임을 해산한 후, 아그립바 왕과 베스도 총독과 변호사 버니게 그리고 다른 재판관들은 바울에게 죄가 없음을 확인합니다(30-31절). 아그립바 왕은 베스도에게 “그 사람이 황제에게 상소하지 않았으면, 석방될 수 있었을 것이오”(32절)라고 애석해 합니다. 

묵상:

이 이야기에서 재판 받는 사람은 바울입니다. 그런데 실은 아그립바 왕과 베스도 총독 그리고 유대 지도자들이 바울에 의해 재판을 받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지금 고소 당하고 있는 사람은 바울이지만, 실은 그가 고관들을 고소하고 있습니다. 바울은 육신적으로는 매인 몸이었지만 영적으로는 재판정에 모여 있는 사람들 중에 가장 자유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들은 바울의 처지를 안타까이 여겼지만, 실은 바울이 그들의 처지를 안타까이 여겼습니다. 그들은 바울이 미쳤고 자신들은 제정신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은 바울만 제정신이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이렇게 결박을 당한 것 외에는, 꼭 나와 같이 되기를 하나님께 빕니다”라고 말한 것입니다. 

하나님을 믿는 것, 영생을 얻은 것, 하나님 나라를 약속받은 것 그리고 하나님의 자녀가 된 것은 이토록 대단한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미 얻었고 또한 장차 얻을 것을 생각하면 이 세상 누구 앞에 서든 혹은 어떤 형편에 처하든 실망하거나 주눅 들어서는 안 됩니다. 바울 사도가 다른 서신에서 고백한 대로 우리는 가난한 자 같으나 부유하고 가망 없는 사람 같으나 가장 가망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믿지 않는 사람들은 우리가 헛것을 믿고 있다고 하겠지만, 실은 그들이 헛것을 믿고 있는 것입니다. 믿음으로 하나님 나라를 보는 사람이 참되고 영원한 현실을 보고 있는 것입니다. 

이 아침, 믿음 안에서 이미 주신 은혜 그리고 장차 주실 은혜를 묵상합니다. 그 믿음과 소망을 마음에 품고 오늘 하루도 가슴 펴고 당당하게 살아가기를 소망합니다. 그리고 오늘도 활짝 편 손과 팔로 사랑만 하고 살기를 소망합니다. 아멘.

5 responses to “사도행전 26장 24-32절: 미친 사람은 누구인가?”

  1. 짧거나 길거나 때를 얻거나 못 얻거나 지위 고하가 높거나 낮거나 가리지 않고 오직 그리스도를 전하는 바울의 열정을 배웁니다, 믿지 않는 주위 사람들을 대할 때 바울같은 믿음으로 그리스도의 도를 전할 수 있는 용기와 믿음을 간구합니다.
    당신도 꼭 나와 같이 되기를 하나님께 빌 만큼 성숙한 믿음의 깊이가 되기를 기도합니다.

    Like

  2. 구원과 영생의 주님을 생각과 언행과 삶으로 증언 하기를 원합니다.
    결박을 당하더라도, 미쳤다는 누명을 받더라도 부귀 고하를 가리지 않고 누구에게나 항상 부활의 예수님을 담대하게 증언하는 믿음이
    필요합니다. 믿음의 가족들과 함께 영생과 천국은 오직 부활의 예수님을 통해서만 가능한것을 세상에 알리는 오늘이 되도록 도와주십시오.
    아멘.

    Like

  3. Taekhwan - T.K. Lee Avatar
    Taekhwan – T.K. Lee

    사도바울의 웅장한 멋진 고백이 내 삶에도 흘러넘치기를 소망합니다. 영원하지 않는것을 바라보는 삶이 아니라, 영원한 거을 바라보는 삶!

    Like

  4. 당당한 바울입니다. 왕 앞에서도 할 말을 합니다. 보고 들은 것을 제대로 판단하라고 말합니다. 남의 눈치나 여론에 휘둘리지 말고 양심을 따라 살라는 말입니다. “(어느 한 구석에서 일어난 일이 아니기 때문에 어느 하나도) 왕이 모르실 리가 없다”고 확신한다는 말에 아그립바는 얼마나 당황했을까 상상이 됩니다. 바울은 지금 옥에 갇힌 상태입니다. 병영 밖으로 나가면 유대인들이 암살할 계획이라 신변 보호를 위해서 또 로마 시민으로서 법적 보호를 받고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 로마로 갈 때까지는 구금 상태가 계속됩니다. 자유한 몸으로 이 섬 저 섬 다니고 이방 여러 도시를 방문하며 말씀을 전하던 때와 완전히 다른 상태입니다만 그의 말은 여전히 힘이 있고 활기 찹니다. 결박된 것은 몸이지 마음이 아니란 것을 확인합니다. 예수의 진리 안에서 자유한 사람은 어떠한지를 봅니다. 예수에게만 묶인 사람, 예수의 가르침에만 몰두하는 사람의 자유는 생각 없이 누리는 자유와 다른 것을 봅니다. 나는 진정 자유한 사람인가 묻습니다. 상황에 따라 양심이 나서기도 하고 숨기도 하는 그런 사람 아닌가 조심스럽게 들여다 봅니다. 바울의 진실 앞에서 높은 사람들은 네가 미쳤구나! 라고 반응합니다. 내가 몰랐구나, 내가 바보처럼 살았구나 라고 반응해야 할텐데 바울을 정신 나간 사람으로 돌립니다. 바울은 다마스커스에서 주님이 하신 명령을 이렇게 기억합니다. “그들(이방인)의 눈을 뜨게 하고 어둠에서 빛으로 사탄의 세력에서 하나님께로 돌아오게 하겠다. (18절)” 말씀으로 내가 매일 새롭게 눈을 뜨고 자유하게 하시니 주님 감사합니다. 선물로 주신 자유를 잘 사용하게 하소서.

    Like

  5. 당신의 도우시는 손을 느낍니다. 또한 당신의 엄중한 경고와 주의주심을 느낍니다. 주신 축복애도 불구하고 제 기도와 찬송의 시간이 줄었음을 고백합니다. 회복시켜 주세요.

    Like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Blog at WordPress.com.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