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119편 161-176절: 권력에의 욕구

해설:

161절부터 168절은 매 절마다 히브리어 알파벳 ‘쉰’으로 시작합니다. 시인은 하나님을 등지고 악행을 일삼는 사람들을 가리켜 “권력자”(161절)라고 부릅니다. 권력은 하나님의 자리에 앉은 것으로 착각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권력이 커질수록 하나님은 점점 작아지고 악행으로 기울어지게 됩니다. 그런 사람에게 의로운 사람은 눈엣가시와 같습니다. 그래서 의와 진리를 따라 사는 사람들을 억압하고 제거하려 합니다. 하지만 시인은 그들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지상의 권력자보다 더 강한 분이 계시기 때문입니다. 그는 주님의 법을 사랑하고 그 법을 따라 살면서 주님을 찬양합니다(162-164절, 166-168절). 그렇게 철저하게 의지하는 사람을 주님께서는 지켜 주시기 때문입니다(165절). 

169절부터 176절까지는 마지막 알파벳 ‘타우’로 시작합니다. 시인은 마지막 연을 하나님의 도움을 구하는 기도로 마무리합니다. 그의 기도는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주님의 말씀을 깨닫게 해 달라는 것이고(169절), 다른 하나는 악인들의 위협에서 자신을 건져 달라는 것입니다(170절). 그는 주님의 법도를 따르기로 선택했으며, 그것을 노래하고 찬양합니다. 그는 모든 소망을 주님께 걸었습니다(171-175절). 하지만 그는 길을 잃은 양처럼 되었습니다. 시인은 자신을 그 상태로 내버려 두지 말아 달라고 호소합니다(176절).  

시인이 이 긴 시편을 ‘열린 결말’(open ending)으로 끝낸 것은 매우 의미심장합니다.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은 현실 세계에서 자주 고난을 당합니다. 고난의 현실 중에 있을 때 믿는 이들은 하나님의 도움을 구하고 기다리지만, 응답은 자주 늦어지고 기다림은 길어집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품에 안길 때까지 계속되는 일입니다. 따라서 믿는 이들은 이러한 현실에 대해 마음을 준비하고 살아야 합니다. 주님께 희망을 걸고 주님의 말씀을 따라 거룩하고 의롭게 사는 것은 이 땅에서 잘 되고 잘 살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이 땅에서 고난 당하고 손해를 보더라도 그 길을 걷는 것이 믿음입니다. 

그렇게, 주님께 희망을 걸고 고난을 견디다 보면 때로 주님께서 구원의 손길을 내밀어 주십니다. 그 손길을 한번만 경험해도 그동안 겪은 모든 고난이 보상 되고도 남습니다. 그리고 그보다 더 큰 고난을 대면해도 견딜 능력을 얻습니다. 

묵상:

영성가들이 영적 생활에 있어서 경계해야 할 것들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돈, 권력 그리고 섹스를 꼽습니다. 이 세 가지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좋은 선물입니다. 문제는 우리의 마음이 절제력을 잃고 이 욕망들에 휘둘리는 데 있습니다. 칼이 병을 치료하는 유익한 도구로 사용될 수도 있고 사람을 죽이는 흉기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욕망들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기도 하고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할 수도 있습니다. 반면, 하나님을 거역하고 우리 자신의 인생을 파괴시키며 이웃에게 상처를 주는 도구가 되기도 합니다.

누구에게나 권력에 대한 의지와 욕망이 있습니다. 강자가 되고 싶은 욕망입니다. 그 욕망이 우리로 하여금 자신을 세우기 위해 노력하게 만듭니다. 지금까지 인생에서 무엇을 이루었다면, 그 추진력은 권력에 대한 욕망에서 나온 것입니다. 하지만 절제력을 잃으면 권력은 우리 스스로가 신이 된 것처럼 착각하게 만듭니다. 크든 작든 권력에 취하면 하나님을 업신 여기게 되고 악행에 기울어지게 됩니다. 그것이 흉하게 표출될 경우 ‘갑질’이라고 부릅니다. 약자에게도 권력에의 욕구가 있습니다. 그 욕구가 흉하게 표출되는 것을 ‘을질’이라고 부릅니다. 

우리의 매일의 기도는 마음의 왕좌에서 내려와 그 자리에 예수 그리스도를 모시는 과정입니다. 우리는 매일 아침 “저는 왕이 아닙니다. 저는 신이 아닙니다. 오셔서 저의 왕이 되어 주시고 저의 하나님이 되어 주십시오”라고 고개 숙입니다. 그것이 우리 안에 똬리를 틀고 있는 권력에의 욕구에 사로잡히는 불상사를 막는 일입니다. 

6 responses to “시편 119편 161-176절: 권력에의 욕구”

  1. 권력과 부와 명예에 인생을 만족없이 허비한 비천한 신세 입니다.
    뒤 늦게라도 주님의 말씀을 기리고 묵상하는 시간을 허락하신 주님께 감사와
    영광을 드립니다. 고난과 시련 중에도 하늘의 사랑과 기쁨과 평강을 맛보기를
    원합니다. 생명의 말씀을 순종하는 믿음이 필요합니다. 믿음의 가족들과 함께
    주님이 기뻐하시는 삶을 살아내는 오늘이 되도록 도와주십시오. 아멘.

    Like

  2. 내가 길을 잃고 방황 항 때에 주님의 말씀과 지팡이로 이끌어 주시어 주님의 길로 돌아오게 하심을 기억합니다, 세상의 욕망과 욕구를 주님의 말씀으로 다스려 주시어 현실의 삶에서 평범함과 평안함이 유지되기를 기원합니다.
    말씀만이 나의 삶의 목표가 되게 해주시고 그 안에서 삶의 모든 가치가 이루어 지기를 기도합니다.
    주님만 찬양합니다.

    Like

  3. 주님! 인간의 본성은 소유욕이 끝이 없음을 인정합니다. 특히 권력과 재물입니다. 믿음이 있는자들은 이러한 것들을 예수님의 마음으로 약자와 가난한자들을 위하여 사용하여야 마땅하나 현실은 그렇지 않음이 아쉽습니다. 특히 교회시설에 많은 돈을 발라서 삐까뻔젹하게 만든 대형 교회들이 많은 현실입니다. 살아가기가 어려워서 극단적선택을 행하는 자들을 외면한채 말입니다. 예수님! 내마음의 왕으로 오셔서 머리부터 발끝까지 통치하심으로 나는 죽고 예수로만 사는 자가되어 예수님의 마음을 실천하는 자가될 수 있도록 도와 주시옵소서. 아멘, 하나님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Like

  4. Taekhwan - T.K. Lee Avatar
    Taekhwan – T.K. Lee

    제 인생의 주인이 하나님이심을 다시 한번 상기합니다. 동시에 오늘 중요한 일정 가운데에 하나님의 긍휼을 구합니다. 하나님의 은혜가 임하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Like

  5. young mae kim Avatar
    young mae kim

    36년 전에 119편을 읽었을 때와 이번에 읽으면서 느끼는 것이 조금 다릅니다. 딸과 며느리, 부인과 친구의 역할만 할 줄 알다 엄마가
    되고 나니 기쁨은 잠깐이고 품에 안은 아이의 인생을 책임져야 하는 부모 노릇을 어찌 감당할 것인가가 너무나 큰 산처럼 느껴져 한없이
    무력하고 작게 보이는 나 자신을 어딘가에 숨기든가, 아니면 아기를 놓고 도망이라도 가고 싶은 심정으로 펼친 성경이 119편이었습니다.
    인생의 의미가 대단한 데 있지 않고 매일 매일 (해야) 하는 평범한 일과 대화 속에 쌓여 가는 것임을 아직 모르던 초보엄마는 자고 나면
    크고, 볼 때마다 새로운 짓을 하는 딸에게 ‘기대고 의지하면서’ 부모의 책임과 의무를 감당하는 것이 지금 내 앞에 떨어진 지상과제라는
    생각으로 살았습니다. 첫 아이를 키울 때는 다들 그런가 봅니다. 아이에 대한 사랑이 크면 클수록 책임감도 같이 커졌습니다. 어떤 땐
    아이가 크는 건지 아이의 부모로 내가 크는 건지 (둘 다 동시에 일어나는 일이겠지만) 모르겠던 적도 있습니다. 아이를 온전히 예뻐 만
    할 수 있는 사치는 할머니 할아버지가 된 뒤에야 받는 선물일 것입니다. 시편 119편은 하나님의 자녀가 평생 커 가는 모습을 담고 있는
    찬양이라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이번에 읽으면서는 그런 느낌을 받았습니다. 부모이신 하나님의 가르침을 평생토록 잘 따르겠다는 자녀의
    다짐이 페이지마다 구절마다 녹아 있습니다. 주님의 법도와 율례는 부모에게서 받은 무형의 유산이기도 하고, 땅 문서나 가옥 같은 유형의
    재산이기도 합니다. 아무 것도 받지 않은 자녀는 없습니다. 받은 것을 모를 수는 있습니다. 자기 몫이 있다는 걸 깨닫지 못해 방황하거나
    좌절하는 자녀가 있을 수 있지만 주님은 우리 모두에게 당신의 법과 지혜를 주셨습니다. 시인은 주의 길을 걷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습니다. 마음을 다하여 지키려고 하지만 곳곳에 원수가 있어서 조롱을 하고 비웃는다고도 말합니다. 한 생명이 태어나 성장하고
    성숙하는 동안 ‘원수’와 싸우지 않고 지나가는 경우는 없습니다. 원수는 질병의 얼굴을 하기도 하고, 실패와 실망의 옷을 입고 나타나기도
    합니다. 사고로 찾아 오기도 하고, 성공의 가면을 쓰고 속이기도 합니다. 119편 내내 하나님은 시인의 마음을 붙잡고 계십니다. 주의
    말씀은 영원합니다. 주의 신실하심은 대대에 이릅니다. 주의 법도는 나를 살립니다…”나는 길 잃은 양처럼 길을 잃었습니다”라는 마지막
    절의 고백은 매순간 우리가 느끼는 연약함이 내는 신음소리입니다. 갓난 아기를 품에 안고 느끼는 엄마의 심정이 그랬습니다. “주의 종을
    찾아주소서”라고 부르짖기 전에 “네가 (아담아) 어디 있느냐” 하나님이 동산에서 우리를 찾으십니다. “내가 주의 명령들을 잊지 않고
    있습니다.” 나는 내가 당신의 자녀임을 잊지 않고 있습니다. 당신이 나의 아버지요 어머니이심을 기억합니다. 주의 명령으로 내가
    태어났음을 기억합니다. 감사합니다 주님. 찬양합니다.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Like

  6. 내 마음이 주님을 떠나지 않게 하시길 바랍니다. 어제는 크리스쳔이라는 이유로 참수당하고 테러당하는 중동지역의 가족들을 위해 기도해 달라는 요청을 친구로부터 받았습니다. 그는 선교사님을 후원해오고 있었는데 최근에 핍박이 갑자기 심해졌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내가 선의를 가지고 동의해주고 무의식중에 지원해주는 일상의 일들이 혹시 하나님을 대항하고 악한일을 하려는 권력을 강화시켜주는 일이 아니었나 생각해보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지혜를 구해야 하고 성경의 가르침의 원칙을 지키려는 것이겠지요. 눈물을 닦아주시는 주님께 기도합니다.

    Like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Blog at WordPress.com.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