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이 시편도 역시 “주님께서 다스리신다”(1절)는 선언으로 시작합니다. 현실 세계의 모습만 보면 하나님이 안 계시거나, 계시다면 무능하거나, 전능하다면 무관심하다는 회의에 빠지기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믿는 이들은 예배의 자리에 모여 “주님께서 다스리신다”는 선포를 거듭 듣고 또한 고백해야 합니다. 그 사실을 믿고 현실 세계를 보아야만 진실을 제대로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통치와 섭리를 배제하고 보면 현실은 부조리하고 삶은 향방이 없습니다. 부조리한 현실과 무의미한 삶에 새로운 빛을 비추어 주는 것은 하나님의 통치에 대한 믿음입니다.
시인은 하나님의 통치를 자연 현상에 비유합니다. 그분의 통치는 불처럼 강력하며(3절) 번개처럼 무섭습니다(4절). 한 순간에 산을 무너져 내리게 만드는 지진과 같습니다(5절). 하나님은 그 능력으로 이 세상에 “정의와 공평”(2절)을 드러내십니다. 자연 현상은 때로 우리로 하여금 두려워 떨게 만들지만 하나님의 신비와 위엄과 영광을 보게 해 줍니다. 그래서 시인은 “하늘은 그의 의로우심을 선포하고, 만백성은 그의 영광을 본다”(6절)고 고백합니다.
창조주 하나님이 이렇게도 분명하게 당신의 존재를 드러내시고 공의롭게 통치를 펼치시는데 어리석게도 우상을 찾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자신들의 어리석은 선택으로 인해 마침내 수치를 당하고 부끄러움을 당할 것입니다. 우상은 인간을 구원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7절). 진정으로 우리를 다시리시는 분 그리고 우리의 경배를 받으실만한 분은 오직 하나님 뿐이십니다. 그래서 시온과 유다의 딸들은 그분을 향해 기뻐 외칩니다(8절).
그런 하나님을 예배하는 사람들은 그분을 닮아 살아가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시인은 “주님을 사랑하는 사람들아, 너희는 악을 미워하여라”(10절)고 권면합니다. 정의와 공평의 왕이신 하나님이 계시기에 “빛은 의인에게 비치며, 마음이 정직한 사람에게는 즐거움이 샘처럼 솟을 것”(11절)입니다. 이것을 안다면 우리가 기뻐하고 감사하며 예배할 분은 오직 천지를 지으신 하나님 한 분 뿐임을 알게 됩니다(12절).
묵상:
우리의 눈은 부분만 볼 수 있고 우리의 마음은 이기적으로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세상의 현실이 부조리하고 공평하지 않게 보일 때가 많습니다. 또한 우리는 지금 당장의 현실만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은 더욱 부조리하고 부당하게 보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하나님이 다스리신다”고 선포하는 것은 어리석은 소리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하나님이 아니라 인간의 악의가 다스리는 것처럼 보일 때가 더 많기 때문입니다. 혹은 알 수 없는 악의적인 신이 심술을 부리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것도 아니면, 우연과 사고가 세상사를 만들어 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토록 부조리한 현실의 한 가운데서 믿는 이들은 예배 중에 선포합니다. 다른 무엇이 아니라, 다른 누구가 아니라, 하나님이 다스리신다고!
그분은 “정의와 공평”(2절)의 하나님이십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의 다스림을 믿고 선포하는 사람들은 부조리하고 왜곡된 현실 가운데서 하나님의 정의와 공평을 닮아 살아가기 위해 노력합니다. 시인은 그런 사람들을 “의인”(11절)이라고 부릅니다. 세상은 그런 사람들을 알아주고 높여주기는 커녕 무시하고 외면합니다. 때로는 조롱하고 박해합니다. 그런 일을 당하면 ‘꼭 이렇게 살아야 하는가?’ ‘나 혼자만 속고 있는 것은 아닌가?’ 혹은 ‘누구 좋으라고 내가 이렇게 손해 보고 사는가?’ 같은 의문에 사로잡힐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시인은 하나님께서 다스리신다는 사실 그리고 그 하나님께서 결국 의인들을 높여 주실 것이라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하나님의 정의를 닮아 살아 지금 어려움을 당한다 해도 마침내 그분 안에서 웃게 될 것입니다. 바로 그것이 우리 모두에게 예배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진정한 예배가 아니고는 부조리한 현실 가운데서 이 영적 진실을 굳게 믿고 살아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