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이 시편은 ‘시로 쓴 신학’이라고 이름 지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다윗의 시편으로 분류되어 있는 이 시편은 하나님의 속성에 대한 고백으로 가득합니다. 다윗이 이 시편을 지었다면 인생 말년에 쓴 것이 분명합니다. 하나님이 얼마나 은혜로운 분이시며 인간이 얼마나 연약한 존재인지를 절절히 경험한 사람의 고백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한 사람의 ‘체험적 신론’이라고도 부를 수 있습니다.
먼저 다윗은 자기 자신에게, 온 마음을 다하여 거룩하신 주님을 찬양하고 그분이 베푸신 모든 은혜를 기억하라고 말합니다(1-2절). 이렇게 말한 다음, 다윗은 그동안 자신이 경험해 온 하나님과 그분의 성품에 대해 묵상했을 것입니다.
얼마 지난 다음, 그는 입을 열어 자신이 경험한 하나님에 대한 고백을 시작합니다(3-13절). 귀하고 선하고 아름답고 거룩한 모든 것들이 그분 안에 있습니다. 그 모든 것에 부족함이 없습니다. 다윗은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와 은혜와 자비를 특별히 강조합니다. 그것은 다윗이 일생을 지내 오면서 체험한 것입니다. 그도 때로 하나님의 사랑을 의심한 적이 있고 그분의 정의에 대해 의혹을 가졌던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을 지나고 보니 그의 생각이 짧았음을 알았습니다. 자신의 인생사가 어떻든지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와 정의와 자비는 변함이 없다는 것을 체험했습니다.
그러한 자비와 은혜와 사랑을 체험할 때면 “온 우주의 창조주이신 주님이 왜 나를 이렇게 사랑하시고 돌보시는가?”라는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다윗도 하나님의 은혜와 자비를 자각할 때마다 그렇게 물었을 것입니다. 그 묵상을 통해 그가 얻은 대답이 14절부터 18절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두 가지 이유 때문입니다.
첫째, 하나님께서 자신을 그토록 아끼시고 돌보시는 이유는 자신의 연약함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영원성에 비하면 인생은 너무도 덧없는 존재입니다. 덧 없는 존재이기에 하나님은 그 존재 하나 하나에 마음을 쓰십니다. 둘째, 그가 하나님을 경외하기 때문입니다. 비록 그는 삶의 여정에서 여러 가지 잘못을 범하였지만 하나님을 경외하는 마음에는 변함이 없었습니다. 하나님은 그 마음을 귀하게 여기시고 그를 돌보아 주셨습니다. 그뿐 아니라 하나님은 당신을 경외하는 사람들의 축복을 자손들에게 이어지게 하십니다.
이렇게 고백한 다음, 다윗은 하나님의 통치 하에 있는 모든 존재에게 자신의 찬양과 경배에 동참 하라고 권면합니다(19-22절). 하늘에 있는 영적 존재들(20절), 주님을 섬기는 모든 지도자들(21절), 주님께 지음 받은 모든 사람들(22절) 그리고 자기 자신에게! 온 우주에 찬양 받으실 분은 하나님 한 분 뿐이며, 모든 살아있는 존재는 그분의 찬양에 참여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진정 그러한 예배와 찬양을 받으실만한 분이기 때문입니다.
묵상:
하나님이 얼마나 크신 분인지를 알고 우리 자신이 얼마나 덧없는 존재인지를 알면, 하나님을 믿는다고 해도 감히 그분 앞에 고개 들 수 없습니다. 그분에게 있어서 나라는 존재는 공중에 날아다니는 한 터럭의 먼지와 다름이 없기 때문입니다. 5백년을 살아 온 장송 앞에 서면 우리 존재가 얼마나 작아지고 덧없어 보입니까? 그렇다면 영원하신 하나님 앞에 서 있는 우리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분의 크심을 생각하면, 그분이 이 하찮은 생명에 관심을 두신다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습니다.
이 덧 없는 생명에 대한 하나님의 관심과 사랑이 이해되지도 않고 믿어지지도 않지만, 지나온 삶의 여정을 돌아 보면 그것이 진실입니다. 하나님은 나의 이름을 기억하시고 내 마음 깊은 곳에 숨겨진 소망과 근심과 염려까지도 알고 계십니다. 내가 나 자신을 사랑하는 것보다 그분이 나를 더 사랑하시고 인도하십니다. 그러니 “하나님, 왜입니까? 왜 나를 이토록 돌보십니까?”라고 질문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우리 자신에게서는 찾을 수가 없습니다. 오직 하나님의 속성에서만 그 대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분은 ‘사랑밖에 할 줄 모르는 분’이십니다. ‘사랑하지 않을 능력이 없는 분’이십니다. 참된 사랑은 사랑의 상대가 연약할수록 더 강해지는 법입니다. 영원하신 하나님이 우리를 관심하시고 사랑하시는 이유는 우리의 덧없음 때문입니다. 전능하신 하나님이 우리를 돌보시는 이유는 우리의 무능함 때문입니다. 그것을 안다면, 그분 앞에서 우리가 할 것은 오직 하나입니다. 그분을 경외하고 그분을 찬양하는 것!
Leave a Reply